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겟 아웃(Get Out, 2017) 기본정보 감독 배우 줄거리 총평

by scene9 2025. 3. 27.

공포 영화는 단순한 오락거리를 넘어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낼 때 더욱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겟 아웃(Get Out, 2017)*과 *어스(Us, 2019)*는 이러한 요소를 완벽히 갖춘 작품들입니다. 두 영화 모두 조던 필(Jordan Peele) 감독이 연출한 공포 영화로, 기존의 장르 공식을 따르면서도 새로운 해석과 사회적 비판을 담아내며 독창적인 작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겟 아웃과 어스의 기본 정보, 감독과 배우, 줄거리, 메시지, 그리고 총평까지 심도 있게 분석하겠습니다.

출처:네이버영화

겟 아웃(2017) 기본 정보

  • 제목: 겟 아웃 (Get Out)
  • 개봉: 2017년 2월 24일 (미국), 2017년 5월 17일 (한국)
  • 장르: 공포, 스릴러, 미스터리
  • 감독: 조던 필
  • 각본: 조던 필
  • 상영 시간: 104분
  • 배급: 유니버설 픽처스
  • 국내 관람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주요 배우

  • 대니얼 칼루야(Daniel Kaluuya) – 크리스 워싱턴
  • 앨리슨 윌리엄스(Allison Williams) – 로즈 아미티지
  • 캐서린 키너(Catherine Keener) – 미시 아미티지
  • 브래들리 휘트포드(Bradley Whitford) – 딘 아미티지
  • 릴 렐 하우어리(Lil Rel Howery) – 로드 윌리엄스

겟 아웃 줄거리

젊은 흑인 남성 크리스는 백인 여자친구 로즈의 부모님을 만나기 위해 그녀의 집을 방문합니다. 처음에는 따뜻한 환영을 받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상한 분위기가 감돌기 시작합니다. 집안의 하인들은 어딘가 어색하고, 로즈의 부모님도 평범해 보이지만 묘한 분위기를 풍깁니다. 크리스는 점점 더 불길한 기운을 느끼며, 이 집에 숨겨진 끔찍한 비밀을 발견하게 됩니다.

겟 아웃의 메시지

  1. 인종차별과 사회적 위선
    백인들이 "우리는 인종차별을 하지 않는다"고 말하면서도 무의식적으로 흑인을 대상화하고 착취하는 모습을 풍자합니다.
  2. 인간 개조와 신체 착취의 공포
    흑인의 육체적 우월성을 이용하려는 백인 사회의 이중적인 태도를 비판합니다.
  3. 최면과 세뇌 – 무력한 인간
    주인공 크리스가 최면에 걸려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육체를 빼앗기는 장면은, 억압받는 소수자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겟 아웃 총평

공포와 사회적 메시지를 완벽하게 결합한 작품입니다. 인종차별 문제를 공포 영화의 형식으로 풀어냈으며, 영화 속 다양한 상징과 은유가 한 번 보고 끝나는 영화가 아닌, 여러 번 곱씹게 만드는 영화로 자리 잡았습니다.

겟 아웃 vs 어스 – 차이점과 공통점

요소 겟 아웃 (2017) 어스 (2019)

주제 인종차별 사회적 계급
주요 설정     현실적인 공포 초자연적 요소
공포 요소    심리적 압박 신체적 위협
사회적 메시지   흑인에 대한 백인의 착취 소외된 계층의 반란
주요 상징    최면, 신체 개조 도플갱어, 가위

두 영화 모두 공포를 이용해 사회적 문제를 담아냈으며, 조던 필 감독의 독창적인 연출과 강렬한 메시지가 돋보이는 작품입니다.